집 와이파이를 이용해 스마트폰으로 웹서핑 할 경우 네이버만 유독 접속이 느린 경우가 있다.
다음, 구글, 다나와 등 다른 사이트들은 문제가 없는데 말이다.
또한, LTE로 접속해도 괜찮고 다른 와이파이로 접속해도 괜찮은데 우리집에서만 이런 현상이 발생한다.
왜 그럴까????? 여러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겠지만 나의 경우 DNS 설정의 문제였다.
나는 KT, SKT DNS가 아닌 구글 DNS를 사용하고 싶어 공유기에도 구글 DNS로 설정해 놓았다.
따라서 스마트폰 또는 PC 등에서 DHCP로 와이파이에 접속하면 IP주소 할당시 DNS가 구글 DNS 서버로 자동 설정된다.
그럼 이게 왜 문제인가?
구글 DNS에서 네이버 주소를 쿼리하는 경우와 KT DNS에서 네이버 주소를 쿼리하는 경우를 비교해 보겠다.
1. 구글 DNS 검색 결과
아래는 DNS서버가 구글로 설정되었을 경우 네이버 검색 결과이다.
위 그림에서 볼 수 있드시 네이버의 IP주소가 23.50.3.12가 나온다. whois 검색결과 해당 IP주소의 위치는 미국으로 확인된다.
2. KT DNS 검색 결과
이번에는 KT DNS에서 네이버 주소에 대한 nslookup을 실행해 보았다.
그때 그때 다르긴 하지만 네이버의 IP주소가 125.209.222.141~142 또는 210.89.164.88~90 등으로 검색된다. 그리고, 그 IP주소는 한국으로 확인된다.
3. 결론
위 비교에서 볼 수 있드시 구글 DNS로 네이버를 접속할 경우 미국에 있는 네이버 서버로 접속하게 되는 것이다. 당연히 국내 서버로 접속하는 것보다 속도에서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
물론, 구글 DNS사용하는데 큰 문제가 없으신 분은 그대로 사용해도 무방하겠다.
하지만 네이버 등 특정 사이트만 느리다고 느끼시는 분은 DNS 설정을 바꿔 보시는 것도 하나의 해결책이 될 수 있다.
'시스템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시스템에서 passwd 및 group 파일 구조 (0) | 2020.07.15 |
---|---|
SSH 접속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추천 - XSHELL (0) | 2020.04.22 |
DNSZi에서 내 도메인 관리하기 (0) | 2020.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