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라즈베리파이4 설정(5) - DNSZi에서 DDNS IP주소 자동 갱신하기 지난 글에서 DNSZi를 이용하여 도메인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간단히 언급 했었다. https://blog.codesarang.com/10 DNSZi에서 내 도메인 관리하기 각자 본인의 도메인을 구매 하였고, 도메인 주소를 이용하여 내 서버로 연결을 원한다면 도메인과 IP주소를 매핑 시켜 주어야 한다. 대부분의 도매인 구매 사이트는 사용자의 도매인 관리를 위한 부가 기능을 제공.. blog.codesarang.com DNSZi를 사용하여 도메인을 관리하는 이유는 집 IP 주소가 바뀌어도 연결되어 있는 도메인 주소의 A레코드(IP주소)를 자동 갱신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그럼, 이번에는 라즈베리파이에서 내 도메인에 연결된 IP 주소를 어떻게 자동 갱신 시킬 수 있는지 그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1.. 더보기
DNSZi에서 내 도메인 관리하기 각자 본인의 도메인을 구매 하였고, 도메인 주소를 이용하여 내 서버로 연결을 원한다면 도메인과 IP주소를 매핑 시켜 주어야 한다. 대부분의 도매인 구매 사이트는 사용자의 도매인 관리를 위한 부가 기능을 제공한다. 나의 경우 호스팅KR 이라는 데서 도메인을 구매 하였고, 도메인 관리 페이지에 들어가면 아래 화면처럼 "네임서버(서브도메인) 설정 관리" 메뉴가 존재한다. 여기서 내 소유 도메인의 서브 도메인에 IP 주소 할당이 가능하다. 그러면 왜 DNSZi에서 도메인을 관리할까? 아래 두가지가 대표적인 이유이다. 1. 관리를 위한 인터페이스가 편하다. 2. 도메인에 동적 IP주소 부여가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가정집에 부여된 IP 주소는 고정되어 있지 않다. 물론 그렇다고 자주 바뀐다는 말은 아니다. 이렇게.. 더보기
라즈베리파이4 설정(4) - NGINX에서 도메인으로 접속만 허용하기(IP주소 직접접속 차단) 이번 글은 특정 IP주소에서 내 서버로 접속하는 것을 차단한다는 의미가 아니다. 도메인 주소가 아닌, 내 서버의 IP 주소를 직접 브라우저 주소창에 입력할 경우 접속을 차단한다는 의미이다. 지난 글에서는 라즈베리파이에서 여러 도메인 홈페이지를 동시에 서비스하도록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언급 했었다. https://blog.codesarang.com/7 라즈베리파이4 설정(3) - NGINX에서 다중 도메인 홈페이지 운영하기(Virtual Host) 웹 서버를 운영하다보면, 한 웹서버에 여러 홈페이지를 운영할 경우가 있다. aaa.domain.com, bbb.domain.com 와 같이 서브 도메인만 다른 경우가 있을 수도 있고, www.domain1.com, www.domain2.com 처럼 아예 다.. .. 더보기
라즈베리파이4 설정(3) - NGINX에서 다중 도메인 홈페이지 운영하기(Virtual Host) 웹 서버를 운영하다보면, 한 웹서버에 여러 홈페이지를 운영할 경우가 있다. aaa.domain.com, bbb.domain.com 와 같이 서브 도메인만 다른 경우가 있을 수도 있고, www.domain1.com, www.domain2.com 처럼 아예 다른 도메인을 운영할 수 도 있다. NGINX 웹서버는 Virtual Host라는 기능을 이용하여 여러 홈페이지를 운영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1. Virtual Host 설정 Virtual Host를 설정하는 방법은 매우 간단하다. "/etc/nginx/sites-enabled" 폴더 아래에 도메인별로 설정파일을 만들어 저장해 놓기만 하면 된다. 예를 들어 "www.domain.com"이라는 홈페이지와 "blog.domain.com"이라는 홈페이지를 라즈.. 더보기
라즈베리파이4 설정(2) - NGINX에 SSL 인증서 할당받기(HTTPS 지원) 지난번 글에서는 라즈베리파이에 NGINX와 PHP를 설치하여 웹서버를 구축했다. 최근 제작되는 웹사이트들은 SSL 인증서 기반의 HTTPS 프로토콜을 대부분 지원한다. 라즈베리파이에서 HTTPS 프로토콜을 지원하도록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여기서는 Let's Encrypt에서 제공하는 무료 인증서를 이용하여 HTTPS 사이트를 구축해 보도록 하겠다. Let's Encrypt는 유효기간이 3개월인 무료 인증서를 제공하며, 무제한 추가 갱신을 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즉, 도메인만 있으면 무료 인증서를 기간의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우선, 인증서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본인 소유의 도메인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구매 방법은 여러 블로그에 소개되어 있으니 참고하도록 한다. 그럼, 도메인을 소유하고 .. 더보기
라즈베리파이4 설정(1) - NGINX와 PHP를 이용하여 웹서버 구축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해서 뭘 할 것인가? 사람마다 그 활용도가 다르겠지만, 나의 경우 간단한 웹서버 기능과 자동 정보 수집 용도로 활용할 예정이다. 우선, 웹서버 구축을 위해서 NGINX, PHP 설치할 예정이다. 물론, NGINX 대신에 Apache를 사용해도 무방하니 필요에 따라 선택하면 될 듯 하다. (참고로 NGINX는 "엔진X"로 읽는다.) 1. NGINX 웹서버 설치 NGINX 서버를 설치하기 전에 우선 "apt update" 및 "apt upgrade" 명령을 수행하여 운영체제를 최신 업그레이드 하도록 한다. # apt update # apt upgrade 이제 "apt install nginx" 명령을 수행하면 NGINX 웹서버가 설치 된다. 웹서버 설치 후 브라우져에 라즈베리파이 IP 주소.. 더보기
라즈베리파이4 시작하기(4) - 접속 ID 변경 이제, 라즈비안 운영체제 설치 완료후 제일 처음 해야할 일이 무었일까? 라즈베리파이 기본 접속 ID(pi)와 비밀번호(raspberry)를 변경하는 것이다. 만일 변경하지 않고 외부에서 접속 가능하도록 허용한다면 내 라즈베리파이는 더이상 내것이 아닌게 된다. 쉬운 방법으로는 pi 계정의 비밀번호만 단순히 변경해도 되겠지만, 관리를 위한 새로운 계정을 생성하는게 보안적 측면에서 훨씬 더 안전하다. 1. 사용자 계정 추가하기 1-1 adduser 실행 사용자 계정 추가를 위해서는 리눅스의 "adduser" 명령을 이용하면 된다. 아래 순서대로 명령을 입력하면 된다. $ sudo su # adduser [새로운계정ID] 패스워드(2회) 입력 새로운 ID를 만들었으니 기존 "pi" 계정을 삭제하면 될까? 아직은.. 더보기
라즈베리파이4 시작하기(3) - SSH 접속, IP 주소 설정 라즈베리파이 부팅 지난 글에서 라즈베리파이 운영체제인 라즈비안(Raspbian)을 설치했다. 오늘은 실제 라지베리파이를 구동하고 간단한 설정을 해보도록 하겠다. 부팅 방법은 아주 단순하다. 운영체제가 설치된 MicroSD카드를 라즈베리파이4에 꼽고, 랜선 연결후 전원만 연결하면 끝이다. 라즈베리파이에서 노란색, 빨간색 LED가 번쩍거리면서 라즈베리파이 부팅이 된다. 그러면 이제 라즈베리파이에 어떻게 접속할 것인가??? 2. 라즈베리파이 접속 IP 확인하기 나는 모니터 없이 본체만으로 라즈베리파이를 셋팅한 상태이다. 이 상황에서 라즈베리파이의 접속 IP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공유기의 클라이언트 정보를 확인하면 된다. 내 공유기는 ASUS 공유기이니, ASUS 공유기로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하겠다. 물론, 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