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관리 썸네일형 리스트형 리눅스 시스템에서 passwd 및 group 파일 구조 1. /etc/passwd 파일 구조 root : x : 0 : 0 : root : /root : /bin/bash 1 2 3 4 5 6 7 한 줄의 각 항목은 콜론 문자(:)에 의하여 분리됨. 1 - 사용자 계정 2 - 비밀번호, x일경우 비밀번호는 암호화되어 /etc/shadow 파일에 저장 3 - 사용자의 고유 ID, 0일 경우 root를 의미 4 - 사용자가 속한 그룹의 고유 ID 5 - 사용자에 대한 추가 정보(풀네임) 6 - 홈 디렉토리 7 - 쉘 종류 지정 2. /etc/group 파일 구조 root : x : 0 : root,admin 1 2 3 4 한 줄의 각 항목은 콜론 문자(:)에 의하여 분리됨. 1 - 그룹 이름 2 - 비밀번호, 무조건 x 3 - 그룹의 고유 ID, 0일 경우 ro.. 더보기 네이버만 접속이 느릴경우 처리방법 집 와이파이를 이용해 스마트폰으로 웹서핑 할 경우 네이버만 유독 접속이 느린 경우가 있다. 다음, 구글, 다나와 등 다른 사이트들은 문제가 없는데 말이다. 또한, LTE로 접속해도 괜찮고 다른 와이파이로 접속해도 괜찮은데 우리집에서만 이런 현상이 발생한다. 왜 그럴까????? 여러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겠지만 나의 경우 DNS 설정의 문제였다. 나는 KT, SKT DNS가 아닌 구글 DNS를 사용하고 싶어 공유기에도 구글 DNS로 설정해 놓았다. 따라서 스마트폰 또는 PC 등에서 DHCP로 와이파이에 접속하면 IP주소 할당시 DNS가 구글 DNS 서버로 자동 설정된다. 그럼 이게 왜 문제인가? 구글 DNS에서 네이버 주소를 쿼리하는 경우와 KT DNS에서 네이버 주소를 쿼리하는 경우를 비교해 보겠다. 1.. 더보기 SSH 접속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추천 - XSHELL 라즈베리파이 또는 다른 리눅스 서버에 SSH로 접속하기 위해서 putty.exe 라는 프로그램을 많이 사용한다. putty.exe도 매우 훌륭한 프로그램이지만 사용자 인터페이스라든지 파일 업로드 및 다운로드시 불편함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참고로, putty에서 파일 송수신을 위해서는 pscp 또는 psftp와 같은 별도의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한다. 그럼, SSH 접속시 좀더 편리한 프로그램은 없을까?? 인터넷에 뒤져보면 다양한 SSH용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있지만 여기서는 넷사랑이라는 회사에서 만든 XSHELL을 소개하도록 하겠다. XSHELL은 상용 프로그램이나 개인 및 학교 사용자를 위해 무료 프로그램도 배포한다. 1. XSHELL 다운로드 우선 넷사랑 홈페이지(https://www.netsa.. 더보기 DNSZi에서 내 도메인 관리하기 각자 본인의 도메인을 구매 하였고, 도메인 주소를 이용하여 내 서버로 연결을 원한다면 도메인과 IP주소를 매핑 시켜 주어야 한다. 대부분의 도매인 구매 사이트는 사용자의 도매인 관리를 위한 부가 기능을 제공한다. 나의 경우 호스팅KR 이라는 데서 도메인을 구매 하였고, 도메인 관리 페이지에 들어가면 아래 화면처럼 "네임서버(서브도메인) 설정 관리" 메뉴가 존재한다. 여기서 내 소유 도메인의 서브 도메인에 IP 주소 할당이 가능하다. 그러면 왜 DNSZi에서 도메인을 관리할까? 아래 두가지가 대표적인 이유이다. 1. 관리를 위한 인터페이스가 편하다. 2. 도메인에 동적 IP주소 부여가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가정집에 부여된 IP 주소는 고정되어 있지 않다. 물론 그렇다고 자주 바뀐다는 말은 아니다. 이렇게.. 더보기 이전 1 다음